목사가 되기까지

  지교회에서(지역마다 있는 교회를 ‘개교회’라고 부르지 않고 ‘지교회’라고 부른다) 목사 한
사람을 탄생(?)시킨다는 것은 의미가 있고 축복스러운 모습이다. 바울이 디모데와 디도를
세울 때에도 이런 기분이었을까?
목사가 되기 위해 대학교를 졸업한 후 신학교에서 기본 3년(풀타임으로 공부할 때)을 공부
하고 졸업해야 한다. 그런 후 교단마다 조금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장로교단에서는 강도사
고시를 치러야 하고, 합격 후 1년 동안 인턴쉽과 더불어 교회의 초청을 받아 목사고시를 치른
후 목사 안수를 받아야 한다.
그런데 강도사고시와 목사고시가 쉬운 것이 아니다. 신학교 3년 동안 배운 것은 물론 교단
헌법과 논문, 설교 등이 과목이어서 시험 준비하는 사람이 진땀을 흘리기도 한다. 우리 교회
아놀드 김 강도사의 경우, 강도사 고시 때도 그랬지만 목사 고시를 위해 추운 겨울에 교회에서
밤샘을 하며 시험준비를 하였다. 지난 노회에서는 마지막 Floor Test를 하였는데 그때도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나는 선배 목사님으로부터 <목사는 성도들의 사랑을 먹으면서 자라야, 성도들을 더욱 사랑
할 수 있다>는 말씀을 들었다. 이제 우리 김 강도사가 다음 달이면 목사가 되는데 성도들의
사랑을 더욱 많이 먹는, 사랑받는 “김경식(아놀드) 목사”가 되기를 기도하며, 더욱 사랑해
달라고 성도들에게 부탁하는 바이다.

This entry was posted in 예수랑. Bookmark the permalink.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Hit
525 하나님이 공급하시는 힘(고전 15:10) webmaster 2025.03.30 83
524 깨닫지 못하는 백성들(사 42:18-25) webmaster 2025.03.24 96
523 이제는 부르짖겠다(사 42:14-17) webmaster 2025.03.17 154
522 여호와께 드리는 새 노래(사 42:10-13) webmaster 2025.03.10 141
521 의로 부르시는 하나님(사 42:5-9) webmaster 2025.02.03 209
520 나의 종(사 42:1-4) webmaster 2025.01.27 194
519 북방으로부터 올 한 사람(사 41:25-29) webmaster 2025.01.20 205
518 주 안에서 온전함을 이루라(약 1:4) webmaster 2025.01.13 208
517 하나님의 소유권을 인정하라(대상 29:11-12) webmaster 2025.01.07 245
516 직면(사 41:21-24) webmaster 2024.12.30 181
< Prev 1 2 3 4 5 6 7 8 9 10 53 ... Next >